본문 바로가기
망각을위한노트

개인정보보호법, 왜 가명정보가 개인정보에 포함되는가?

by RNE21 2022. 8. 19.
반응형

가명정보.. 이게 왜 개인정보에 포함되는지 짧게 설명해 보려고 한다.


요약

대전제 : 개인을 식별할 수 있다면 개인정보다.

익명정보는 개인을 식별할 수 없다. -> 더이상 개인정보보호법에서 보호하는 대상이 아니다.

가명정보는 (결합을 통해) 개인정보를 식별할 여지가 (아직) 남아 있다. -> 개인정보보호법으로 보호하겠다.


익명정보는 뭐지?

익명정보는, 합리적인 수단 방법을 모두 동원하더라도
다시 개인을 식별할 수 없을 만큼, 비 가역적으로 익명 처리한 정보다.

합리적인 수단 방법이란 것은 절대 불가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재식별 하는데 100년 걸리는 방법이라면, '합리적인 수단 방법'의 범주에 넣지 않겠다는 의미다.

반응형

 


가명정보는 뭐지?

가명정보는,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일부 정보를 가명처리한 것이다.

가명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 만으로는 개인을 식별할 수 없다.
일단, 개인을 식별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익명처리와는 비슷해 보인다.


그래서 뭐가 다른데?

가명정보는, 익명정보와는 다르다.

가명정보는, 다시 원래의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 남아있다 !
다른 정보와 결합하면, 개인을 식별할 가능성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다른 정보와 결합하면, 개인을 식별할 수 있게 되니까 -> 개인정보보호법으로 보호하겠다.


왜 이런 개념이 탄생하게 되었는가

예전에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법으로 꽉 틀어막았다.
시간이 지난 지금, 개인정보를 활용하기 어렵게 되어, 비효율적인 규제가 되었다.

그래서,
가명처리한 데이터는 활용할 수 있게 하려고, 규제를 다듬은 것.


EOF

반응형